[특징]
학명은 Carex genkaiensis Ohwi
정생소수는 선상 원주형이며 1~1.5cm이고 자루가 있다.
측생소수는 좁은 원주형이며 1~2cm이고 자루가 거의 없다.
자인편에 털이 있다.
과낭은 자인편보다 길고 3~3.3mm이고 방추형, 털이 있고 부리는 짧다.
수과는 모서리 가운데가 파인 방추형이고 2cm, 끝에 둥근 원반 모양의 부속체가 있다.
긴목포사초는 목포사초와 유사하지만 수과 끝의 부속체가 긴 원주형.
[비교] 긴목포사초 목포사초 좀목포사초
1. 줄기 화서 끝에 있는 이삭화서는 측면의 이삭화서와 같거나 짧고, 암꽃 낱꽃의 인편에 짧은 까락이 있다. --- 목포사초
1. 줄기 화서 끝에 있는 이삭화서는 측면의 이삭화서보다 길고, 암꽃 낱꽃의 인편의 까락이 2.0mm 이상 길다.
2. 수과는 도침형이며 끝은 원통형이다. --- 긴목포사초
2. 수과는 도란형의 타원형이며 끝은 고리모양의 부속체가 있다. ----- 좀목포사초
<공통> 수과 중앙은 움푹들어가 있다.
[비교] 청사초절 종의 과낭과 수과
* 청사초절 주요 특징
- 정소수는 웅소수 1개, 측소수는 자소수
- 수과 끝부분의 부속체는 대부분 원반모양
- 암술머리는 3개이며 수과는 팽팽이 들어 있다.
종명 | 과낭 형상 / 길이 | 과낭 털 유무 | 수과 형상 / 길이 | 수과 함몰 위치 |
청사초 | 도란형, 둔한 삼릉형 / - | 위쪽으로 조밀 하게 털 있음 |
둔한 삼릉형 / 약 1.8mm |
없음 |
가지청사초 | 좁은 난형 / 3~3.5mm로 인편보다 길음 |
잔털이 있음 | 도란형 / 1.8~2mm | 없음 |
갯바위청사초 | 장란형 / 약 2.5mm | 성글게 있음 | 타원형 / 1.3~1.6mm | 윗부분 2면이 약간 함몰 |
주름청사초 | 마름모상 장타원형, 둔한 삼릉형 / 약 3mm로 인편보다 길음 |
없음 | 장타원형 / 약 2mm | 주로 능면 위아래 모두 파임 |
큰청사초 | 중앙이 파인 방추형 / 3mm로 인편보다 길음 |
잔털이 밀생 | 능각부 중앙이 파인 방추형 / 2mm |
능각부 중앙 |
좀목포사초 | 도란형 / 2~2.5mm로 인편과 비슷 |
성글게 있음 | 도란상 3릉형 / 1.5~2mm |
능선의 중앙부가 깊에 파이며, 위 아래쪽 면이 약간 함몰 |
목포사초 | 모서리 가운데 부분이 파인 방추형 / 3~3.3mm로 인편보다 길음 |
잔털이 있음 | 모서리 가운데가 파인 방추형 / 2mm |
모서리 가운데 |
* 가지청사초 특징은 수과의 암술대가 구부러짐.
* 수과에는 원반모양의 부속체가 있다. 긴목포사초는 목포사초와 유사하지만 부속체가 원반모양이 아닌 긴 원주형.
* 인편의 길이 측정시 까락을, 수과의 길이 측정시 암술머리를 제외함.
[청사초절 수과 비교, 화살표는 함몰 위치] A : 좀목포사초, B : 청사초, C : 큰청사초, D : 목포사초, E : 까락겨사초
'14.5.4 / 정읍
목포사초 더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6135
긴목포사초 보기 :
좀목포사초 보기 : http://blog.daum.net/watcher/8762958
겨사초 보기 :
'초본식물 > 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별 (Elatine triandra var. pedicellata Krylov) (0) | 2014.11.17 |
---|---|
물여뀌바늘 (Ludwigia peploides) (0) | 2014.09.06 |
민둥갈퀴 (7.16) (0) | 2012.11.11 |
물개발나물 (Sium suave var. nipponicum (Maxim.) Hara) (0) | 2012.10.04 |
망적천문동 (Asparagus davuricus Fisch. ex Link) (0) | 2012.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