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 논문에 따르면 덩굴개별꽃의 괴경은 방추형과 순무형인데, 순무형 중에서 끝이 뭉뚱한 것은
구형으로 보이는 변이가 관찰된다. 이를 덩이뿌리개별꽃으로 불렸으나 덩굴개별꽃 이명으로 처리함.
태백개별꽃 뿌리(4.12)
괴경은 가는 방추형으로 3–56개가 달리며, 지상부 줄기는 1–43개로 괴경을 통해 이웃하여 연결되어 있다. 태백개별꽃 (석죽과, 개별꽃속/3.31) 큰개별꽃(화경과 꽃받침에 털이 없음)과 유사하지
hyunsik.tistory.com
덩굴개별꽃 뿌리(4.12)
굵은 방추형의 뿌리를 갖는다. (다화)개별꽃 뿌리(4.12) 뿌리는 긴 방추형 모양이다. 개별꽃(4.2) [개별꽃속의 검색표] 1. 상부 잎은 대생하며, 크기와 모양이 나머지 잎과 비슷하다. 2. 개화 후에도
hyunsik.tistory.com
(다화)개별꽃 뿌리(4.12)
뿌리는 긴 방추형 모양이다. 개별꽃(4.2) [개별꽃속의 검색표] 1. 상부 잎은 대생하며, 크기와 모양이 나머지 잎과 비슷하다. 2. 개화 후에도 직립한다. 3. 잎은 침형 또는 선상피침형이다. ----- 가는
hyunsik.tistory.com
큰개별꽃 폐쇄화, 뿌리(4.26)
긴 방추형의 뿌리가 달린다. (다화)개별꽃 뿌리(4.12) 뿌리는 긴 방추형 모양이다. 개별꽃(4.2) [개별꽃속의 검색표] 1. 상부 잎은 대생하며, 크기와 모양이 나머지 잎과 비슷하다. 2. 개화 후에도 직
hyunsik.tistory.com
덩굴개별꽃(4.15)
[개별꽃속의 검색표] 1. 상부 잎은 대생하며, 크기와 모양이 나머지 잎과 비슷하다. 2. 개화 후에도 직립한다. 3. 잎은 침형 또는 선상피침형이다. ----- 가는잎개별꽃 3. 잎은 피침형, 난상피침형,
hyunsik.tistory.com
'24.4.12
'초본식물 > 다, 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깨비부채(7.3, 범의귀과) (2) | 2024.11.29 |
---|---|
둥근빗살괴불주머니 꽃 (양비귀과, 둥근빗살괴불주머니속/3.12) (2) | 2024.03.20 |
덧나무 꽃(인동과, 딱총나무속/3.12) (0) | 2024.03.20 |
땅두릅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 (0) | 2024.02.14 |
뚜껑별꽃 (앵초과, 뚜껑별꽃속/7.6) (0) | 202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