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추리속은 10종이 있고 재배은 2종, 자생은 8종이다. 이 중 남한에서는 5종이 자생하는데
특정지역에서 자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주변에서는 흔히 백운산원추리만 볼 수 있다.
* 자생종(8종)
- 애기원추리 : 북부, 두만강 주변 만주
- 골잎원추리 : 두만강과 만주지방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각시원추리 : 북부 고산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 큰원추리 : 중북부의 고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노랑원추리 : 서남 해안가 저지대
- 태안원추리 : 안면도 해안 주변의 저지대, 숲 가장자리나 초지
- 홍도원추리(한국특산) : 홍도, 가거도, 흑산도
- 백운산원추리(한국특산) : 중남부 저지대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
* 재배종(2종)
- 원추리 : 중국원산 재배종
- 왕원추리 : 중국원산 재배종(원추리의 변종. 겹꽃)
[비교] 노랑원추리, 태안원추리, 홍도원추리, 백운산원추리
- 노랑원추리 : 화경은 5cm 이상 분지, 화피통부의 길이는 3~5cm, 화피열편은 도난형
- 백운산원추리 : 화경은 5cm 이상 분지, 잎 폭이 1.8~2.0cm
- 태안원추리 : 화경은 2~4cm 분지, 잎의 길이는 32~46cm, 화경 직경 2~3mm
- 홍도원추리 : 화경은 2~4cm 분지, 잎의 길이는 55~93cm, 화경 직경 약 5mm 정도
[원추리속 검색표]
'17.8.1 / 진도
잎은 2줄로 돋고 부채처럼 퍼지지만 거의 곧추서며 윗부분만이 뒤로 처지고 길이 60-90cm, 폭 20-40mm로서 선형이며, 휘어져 밑으로 드리운다.
6-7월에 잎 중앙에서 화경(花梗)이 나와 1m이상 자라면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꽃은 등록색으로서 오후 4시경부터 피기 시작하여 아침 11시 경에는 거의 쓰러진다.
포는 선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7.5cm이며 소화경은 길이 1-2cm이고 통부는 길이 1.3-2.8cm, 지름 7.5-10cm이다.
외화피는 도피침형 둔두로서 끝이 약간 파지며 내화피는 주걱형 비슷하고 폭 2.8cm이내로서 끝이 둔하며 약간 파진다. 수술은 6개이고 꽃덮이보다 짧다.
- 삭과는 도란형이고 길이 2.5-3.8cm, 지름 21mm로서 끝이 둔하며 약간 파지고 밑으로 갑자기 좁아진다.
- 종자는 길이 6mm정도로서 흑색 타원형이며 광채가 있다.
- 굵은 뿌리가 근경에서 사방으로 뻗는다.
'초본식물 > 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논피(9.27) (0) | 2018.10.01 |
---|---|
논피(9.9) (0) | 2017.09.20 |
나도생강 꽃 (7.28 / 닭의장풀과, 나도생강속) (0) | 2017.08.17 |
누른하늘말나리 (백합과, 백합속) (0) | 2017.07.29 |
날개골풀 (6.4) (0) | 2017.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