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최근사진

나도좀진고사리(6.6)

by 곰보배추 2019. 1. 12.

[특징] 맨 아래 우편이 가장 넓고 포막에 털이 있다.

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

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자형이고, 포막은 말굽모양 또는 갈고리형이다. ----- 개고사리속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U자형이고, 포막은 대부분 선형이다. ----- 주름고사리속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지 않으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 진고사리속

1. 포막이 없다. ----- 뿔고사리속

속명 중축과 우축의 홈 중축과 우축 모서리의 돌기 다세포성 털 포막
개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없음 선형, 갈고리형, 말굽형 등 다양
주름고사리속 연결됨 없음 없음 선형
진고사리속 연결안됨 없음 있음 원형, 갈고리형, 선형
뿔고사리속 연결됨 있음 있음 없음

[진고사리속 종 검색표1]

1. 잎몸은 단엽이고 포자낭군은 길게 붙는다. ----- 버들참빗

1. 잎몸은 1~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포자낭군은 선형, 말굽형 또는 둥근형이다.

    2.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3. 잎몸은 2회 우상이고, 포막은 원형이거나 말굽모양이다. ----- 진퍼리개고사리

        3. 잎몸은 3회 우상이고, 포막은 말굽모양과 갈고리모양이다. ----- 푸른개고사리

    2.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4. 뿌리줄기는 굵고, 짧게 서거나 기며, 잎자루의 기부는 부풀어 오르고 통기공이 있으며 포막은 두껍다.

            5. 우축은 날개가 없고 잎맥은 단순하며 포자낭군은 장타원형이거나 드물게 갈고리형이다.

                6. 뿌리줄기는 분지하거나 짥게 기고, 잎자루 상부에는 비늘조각이 거의 없으며,

                    우편 뒷면에 샘털이 없다. ----- 털고사리

                6. 뿌리줄기는 거의 직립하고, 잎자루 상부에는 비늘조각이 밀생하며,

                    우편 뒷면에 샘털이 있다. ----- 흰털고사리

            5. 우축은 날개가 있고 잎맥은 수회 분기하며 포자낭군은 장타원형, U자형이거나 J자형이다.

                7. 열편은 선상 긴타원형으로, 잎맥은 3회 이상 분지하며, 포막 표면은 돌기가 없다. ----- 왕고사리

                7. 열편은 장타원형으로, 잎맥은 2회  분지하며, 포막 표면은 돌기가 있다. ----- 곱새고사리

        4.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게 기며, 잎자루의 기부는 특히 부풀어지지 않고, 통기공도 없으며 포막은 얇다.

            8. 어린 포막은 대부분 포자낭군을 편평하게 덮고,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9. 잎몸은 좁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포막은 털이 없다.

                    10. 잎은 뚜렷하게 2가지 모양이고, 우편은 끝이 둥글거나 둔하다.

                          11. 뿌리줄기의 지름은 2~3mm이고, 우편 길이는 3.2~3.6cm이며,

                               잎자루는 황갈색이다. ----- 좀진고사리

                          11. 뿌리줄기의 지름은 1.2~1.8mm이고, 우편 길이는 1.4~1.7cm이며,

                               잎자루는 녹갈색이다. ----- (가좀진고사리)

                    10. 잎은 뚜렷하게 2가지 모양이 아니고, 우편은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다. ----- 개좀진고사리

                9. 잎몸은 넓은 피침형, 삼각형이며, 포막은 다소 털이 있다.

                    12. 잎은 뚜렷하게 2가지 모양이다.

                          13. 최하부우편은 눈에 띄게 크고,

                                잎자루에 막질 비늘조각은 그다지 밀생하지 않는다. ----- 나도좀진고사리

                          13. 최하부우편은 눈에 띄게 크지 않고, 잎자루에 막질 비늘조각은 밀생한다. ----- 털진고사리

                    12. 잎은 뚜렷하게 2가지 모양이 아니다. ----- 탐라진고사리

            8. 어린 포막은 모두 포자낭군을 둥글게 감싸고, 가장자리는 갈라지지 않는다.

                9. 잎은 2가지 모양을 보이며 포막에 털이 있다. ----- 큰진고사리

                9. 잎은 2가지 모양을 보이지 않으며 포막에 털이 없다. ----- 진고사리

 

[진고사리속 종 검색표2]

1. 잎몸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2. 잎몸은 2회 우상이고, 포막은 원형이거나 말굽모양이다. ----- 진퍼리개고사리

    2. 잎몸은 3회 우상이고, 포막은 말굽모양과 갈고리모양이다. ----- 푸른개고사리

1.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3. 뿌리줄기는 굵고, 짧게 서거나 기며, 잎자루의 기부는 부풀어 오르고 통기공이 있으며 포막은 두껍다.

        4. 우축은 날개가 없고 잎맥은 단순하며 포자낭군은 장타원형이거나 드물게 갈고리형이다.

            5. 뿌리줄기는 분지하거나 짥게 기고, 잎자루 상부에는 비늘조각이 거의 없으며,

                우편 뒷면에 샘털이 없다. ----- 털고사리

            5. 뿌리줄기는 거의 직립하고, 잎자루 상부에는 비늘조각이 밀생하며,

                우편 뒷면에 샘털이 있다. ----- 흰털고사리

        4. 우축은 날개가 있고 잎맥은 수회 분기하며 포자낭군은 장타원형, U자형이거나 J자형이다.

            6. 열편은 선상 긴타원형으로, 잎맥은 3회 이상 분지하며, 포막 표면은 돌기가 없다. ----- 왕고사리

            6. 열편은 장타원형으로, 잎맥은 2회  분지하며, 포막 표면은 돌기가 있다. ----- 곱새고사리

    3.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게 기며, 잎자루의 기부는 특히 부풀어지지 않고,

        통기공도 없으며 포막은 얇다. ----- 진고사리류

 

[진고사리속 종 검색표3]

1. 어린 포막은 대부분 포자낭군을 편평하게 덮고,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2. 잎몸은 좁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포막은 털이 없다.

          4. 잎은 뚜렷하게 2가지 모양이고, 우편은 끝이 둥글거나 둔하다.

              5. 뿌리줄기의 지름은 2~3mm이고, 우편 길이는 3.2~3.6cm이며,

                  잎자루는 황갈색이다. ----- 좀진고사리

              5. 뿌리줄기의 지름은 1.2~1.8mm이고, 우편 길이는 1.4~1.7cm이며,

                  잎자루는 녹갈색이다. ----- (가좀진고사리)

          4. 잎은 뚜렷하게 2가지 모양이 아니고, 우편은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다. ----- 개좀진고사리

     2. 잎몸은 넓은 피침형, 삼각형이며, 포막은 다소 털이 있다.

         6. 잎은 뚜렷하게 2가지 모양이다.

             7. 최하부우편은 눈에 띄게 크고, 잎자루에 막질 비늘조각은 그다지 밀생하지 않는다. ----- 나도좀진고사리

             7. 최하부우편은 눈에 띄게 크지 않고, 잎자루에 막질 비늘조각은 밀생한다. ----- 털진고사리

         6. 잎은 뚜렷하게 2가지 모양이 아니다. ----- 탐라진고사리

1. 어린 포막은 모두 포자낭군을 둥글게 감싸고, 가장자리는 갈라지지 않는다.

    3. 잎은 2가지 모양을 보이며 포막에 털이 있다. ----- 큰진고사리

    3. 잎은 2가지 모양을 보이지 않으며 포막에 털이 없다. ----- 진고사리

 

[포막 형태에 따른 비교]

- 포막이 선형 : 진고사리, 큰진고사리, 털진고사리, 개좀진고사리

- 포막에 털이 있다 : 큰진고사리, 털진고사리, 나도좀진고사리

- 포막에 털이 없다 : 진고사리, 탐라진고사리, 개좀진고사리, 좀진고사리

- 포막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진고사리, 큰진고사리

[진고사리속의 종별 포막 특징]

- 진고사리 : 포막은 선형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큰진고사리 : 포막은 선형이고 약간의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 털진고사리 : 포막은 선형이고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털처럼 갈라진다.

- 탐라진고사리 : 포막은 선형, 선상 장타원형, J형 등 다양하며 가장자리가 가늘게 갈라진다.

- 개좀진고사리 : 포막은 선형이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과 갈라지는 것이 함께 있다

- 좀진고사리 : 포막은 초승달형, 말굽형, 갈고리형이고 가장자리는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 나도좀진고사리 : 포막은 선형, 갈고리형이고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약간 털처럼 갈라진다.

[비교] 큰진고사리 근연종 

* 진고사리 (Deparia japonica (Thunb.) M.Kato) : 전국

  잎몸은 피침형(넓은 피침형 또는 긴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20~50cm, 너비 15~20cm

  포막은 선형이며 털이 없다.

* 큰진고사리 (Deparia dimorphophylla (Koidz.) M.Kato) : 전남, 경남, 제주도

  잎몸은 난상 긴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30~50cm,  너비 15~30cm

  영양엽 엽병은 인편이 드물게 나며 털이 밀생한다.

  포막은 선형이고 약간의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미끈하다.

* 털진고사리 (Deparia kiusiana (Koidz.) M.Kato) : 제주도

  포자엽 잎몸은 길이 35~40cm, 너비 15~20cm.

  엽병에는 인편과 털이 밀생한다.

  포막은 선형이고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털처럼 갈라진다.

* 탐라진고사리 (Deparia petersenii (Kunze) M.Kato) : 전남, 경남, 제주도

  잎몸은 긴 피침형, 넓은 피침형, 긴 타원형 등 변이가 심하며

  길이 10~50cm, 폭 13~27cm, 윗부분이 급격하게 좁아진다.

  포자낭군은 선형, 선상 장타원형, J형 등 다양하며, 포막은 편평하고 가장자리가 가늘게 갈라진다.

 

나도좀진고사리 신엽 (4.5 /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학명은 Deparia pseudoconilii (Seriz.) Seriz.개고사리과(관다발은 2개)의 속 검색표1. 포막이 있다.    2. 중축의 홈은 우축의 홈과 이어지며, 다세포성 털이 없다.        3. 잎자루와 중축의 횡단면은 V

hyunsik.tistory.com

 

 

 

 

 

 

 

 

 

 

 

 

 

 

 

 

 

 

 

 

 

 

 

 

 

 

 

'18.6.6 / 경남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단일엽  (0) 2019.01.14
응달고사리(6.10)  (0) 2019.01.13
솔잎란  (0) 2019.01.11
깃고사리 포자체  (0) 2019.01.10
탐라사다리고사리  (0) 2019.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