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
[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의 양치식물(이창숙, 이강협 지음)
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우 짧거나 같다.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도 남아있고, 포자의 표면은 가시모양의 돌기가 있다.
3. 영양엽의 열편은 좁은 타원형이고, 예두이며,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산꽃고사리삼(전라도, 제주도)
3. 영양엽의 열편은 광타원형~난형으로 둔두이며,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 숲고사리삼(전남, 제주도)
2. 포자엽은 포자 산포 후에 낙엽지고, 포자의 표면은 그물모양으로 가시 같은 돌기가 없다.
4. 영양엽의 우편 끝은 예두이고, 열편의 톱니는 날카롭다.
5. 우편의 길이는 3cm 이상이며, 포자엽의 잎몸과 잎자루의 비율이 1/4 이상이고,
겨울철에 잎이 적갈색으로 물든다. ----- 단풍고사리삼(전역)
5. 우편의 길이는 3cm 이하이며, 포자엽의 잎몸과 잎자루의 비율이 1/4 이하이고,
겨울철에 잎이 녹색색이지만 일부 적갈색으로 되기도 한다. ----- 애기고사리삼(제주도)
4. 영양엽의 우편 끝은 원두, 둔두이고 열편의 톱니는 둔하다.
6. 성숙한 영양엽은 털이 없고, 소우편의 자루가 뚜렷하다. ----- 고사리삼(전역)
6. 성숙한 영양엽은 긴털이 있고, 소우편의 자루가 뚜렷하지 않다. ----- 산고사리삼(경기, 강원도, 울릉도)
1. 하록성이고 영양엽은 잎자루가 없거나 또는 짧은 자루가 있고, 그 맨 아래에서 포자엽이 나온다.
7. 영양엽은 2~4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잎이 얇고 식물의 키는 30~60cm이다
8. 영양엽의 기부 소우편은 자루가 있고, 우축으로 흐르지 않는다.
포자엽은 3~4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 늦고사리삼(전역)
8. 영양엽의 기부 소우편은 자루가 없으며, 우축으로 흐르며,
포자엽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 긴꽃고사리삼(전역)
7. 영양엽은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잎이 두텁고 식물의 키는 5~20cm이다. ----- 백두산고사리삼
[영양엽의 갈라짐]
산꽃고사리삼 | 숲고사리삼 | 단풍고사리삼 | 애기고사리삼 | 고사리삼 | 산고사리삼 | 늦고사리삼 | 긴꽃고사리삼 |
3회 | 2~3회 | 2~3회 | 2~3회 | 3~4회 | 3회 | 3~4회 | 2~3회 |
숲고사리삼 (12.4)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
hyunsik.tistory.com
산꽃고사리삼(9.1, 고사리삼속)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공통엽병)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 [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
hyunsik.tistory.com
늦고사리삼(5.14)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 [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hyunsik.tistory.com
긴꽃고사리삼(9.28)
고사리삼속은 공통자루가 있고 그 끝에 영양엽과 포자엽이 붙는다.[고사리삼속의 종 검색표]1. 동록성이고 영양엽은 포자엽과 같이 긴 잎자루가 있고, 공통자루 길이는 영양엽의 잎자루보다 매
hyunsik.tistory.com
'24.7.4.
'양치식물 > 양치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시비늘이끼(4.16) (0) | 2025.04.20 |
---|---|
큰우단일엽(3.9) (0) | 2025.03.10 |
암공작고사리(9.28) (4) | 2024.10.10 |
민두메고사리(7.30) (0) | 2024.08.09 |
흰금털고사리(5.22)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