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초과 - 사초속 - 사초아속 비교]
* 사초아속 : 소수는 수가 적으며, 단성, 양성, 유병, 화서에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성기게 배열되며, 전엽이 있다.
* 괭이사초아속 : 소수는 수가 많으며, 모두 양성, 무병, 화서에 수상으로 조밀하게 배열되며, 전엽이 없다.
[사초아속의 절 검색표]
1. 소수는 1개이고, 정생한다. ----- 바늘사초절, 산바늘사초절, 뿌리대사초절
1. 소수는 2개에서 다수이고, 1개 또는 여러 개의 소수가 각각의 포엽에 액생하여 원추화서를 이룬다.
2. 과포는 렌즈형이고, 주두는 2개로 갈라진다. ----- 줄사초절, 왕비늘사초절 등
2. 과포는 삼릉형이고, 주두는 3개로 갈라진다.
3. 과포는 부리가 거의 없거나 짧은 부리가 있고, 구부는 평두 또는 짧은 가위모양이다. ----- 청사초절 등
3. 과포는 긴 부리가 있거나 중간 정도의 부리가 있다. 구부는 뚜렷한 가위모양이다.
4. 엽신은 가로맥이 있다. ----- 융단사초절, 좀보리사초절, 갈사초절, 양뿔사초절
4. 엽신은 가로맥이 없다.
5. 자인편은 암갈색-자갈색이며, 과포의 단면은 납작한 삼릉형 또는 드물게 삼릉형이다.
----- 여우꼬리사초절
5. 자인편은 백색이거나 드물게 짙은 갈색이며, 과포의 단면은 삼릉형 또는 부푼 삼릉형이다.
6. 줄기는 측생하거나 드물게 가운데서 나오며, 암술대 기부가 비후된다. ----- 피사초절
6. 줄기는 포기 가운데서 나오며, 암술대 기부가 비후되지 않는다.
7. 자소수는 많은 꽃이 조밀하게 달린다. 과포는 흔히 수평으로 벌어지거나 드물게
비스듬히 배열한다. ----- 흰꼬리사초절, 애기흰사초절
7. 자소수는 성기게 꽃이 달린다(단, 흰이삭사초절은 조밀하게 달린다.). 과포는 직립
또는 비스듬히 벌어진다.
8. 자소수는 원주형이고, 과포는 4.5mm이내이다. ----- 묏풀사초절
* 나도그늘사초, 묏풀사초
8. 자소수는 좁은 원주형 또는 선상 원주형이고, 과포는 길이 4.5~7mm
(단, 무산사초는 길이 4~4.5mm)이다. ----- 흰이삭사초절, 길뚝사초절
[비교] 그늘실사초, 나도그늘사초
종명 | 그늘실사초 (C. tenuiformis var. neofilipes (Nakai) Ohwi ex Hatus.) |
나도그늘사초 (C. tenuiformis H.Lev. & Vaniot) |
과낭 / 수과 | 길이 5~6mm / 2.2~2.8mm 정도 | 길이 3.5~4.5mm / 2mm 정도 |
[기재문]
학명은 Carex tenuiformis var. neofilipes (Nakai) Ohwi ex Hatus.
잎은 화경보다 짧고 폭 2.5-4㎜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갈색이고 일부에 흑적색이 돌며 섬유처럼 갈라진다.
화경 끝이 처지며 소수는 2-4개가 서로 떨어져 있고 정소수는 수꽃이며 대가 길고 때로 밑부분에 암꽃이
약간 달리는 수도 있다. 측소수는 암꽃이며 끝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리기도 하고 선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1-2.5㎝, 지름 3㎜정도로서 꽃이 드문드문 달리고 긴 대가 있어 밑으로 처진다.
포는 잎같으며 통상부(筒狀部)가 길고 자화영은 흑갈색이며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3㎜정도이고 끝이
둥글며 1맥이 있으나 끝까지 닿지 못한다.
과포는 화영보다 길고 거의 곧추서며 능선 이외에는 맥이 없고 길이 5.5㎜정도이며 난상 방추형이다.
부리는 과포의 길이와 거의 같으며 양쪽 가장자리가 거칠고 끝부분은 백색 막질로서 약간 파진다. 수과는 팽팽하게
들어 있으며 길이 2㎜정도로서 세모진 타원형이고 암술대는 밑부분이 약간 굵으며 끝이 3개로 갈라진다.
그늘실사초 열매, 종자(7.5)
'19.7.5
hyunsik.tistory.com
'19.7.5.
'사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늬사초(5.28) (0) | 2021.04.13 |
---|---|
가시개올미(9.24, 너도고랭이속) (0) | 2021.04.02 |
큰뚝사초 (0) | 2021.03.22 |
긴화살사초 (0) | 2021.03.17 |
미국타래사초 꽃(5.1) (0) | 2021.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