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광대수염, 섬광대수염, 왜광대수염
종명 | 광대수염 (L. album L. subsp. barbatum) |
왜광대수염 (L. album L.) |
섬광대수염 (L. takeshimense Nakai) |
엽저 | 원저 또는 심장저 | 원저 또는 심장저 | 넓은 쐐기모양 또는 절저 |
줄기의 털 | 털이 약간 있다. | 광대수염에 비해 털이 많다. | 털이 없다. |
분포지 | 전국 | 전국 | 울릉도(특산식물) |
주1. 왜광대수염(원종)은 광대수염(변종)에 비해 털이 많고 잎이 작은 것 이외에는 별반 차이가 없다 한다.
이는 떡잎골무꽃(변종)과 골무꽃(원종) 차이와 유사하게 이해하면 어떨까 싶다.
주2. 호광대수염(Lamium cuspidatum Nakai)은 부전고원과 백두산에 분포하며 연한 홍자색꽃이 핀다.
하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호광대수염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19.1.21.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꿩의다리 꽃(9.24) (0) | 2022.04.29 |
---|---|
산층층이 꽃(8.6) (0) | 2022.04.29 |
논뚝외풀 꽃, 열매(9.23) (0) | 2022.04.28 |
왕고들빼기 꽃(9.24) (0) | 2022.04.28 |
성긴그늘사초 그늘사초 자소수 비교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