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광대수염, 섬광대수염, 왜광대수염
종명 | 광대수염 (L. album L. subsp. barbatum) |
왜광대수염 (L. album L.) |
섬광대수염 (L. takeshimense Nakai) |
엽저 | 원저 또는 심장저 | 원저 또는 심장저 | 넓은 쐐기모양 또는 절저 |
줄기의 털 | 털이 약간 있다. | 광대수염에 비해 털이 많다. | 털이 없다. |
분포지 | 전국 | 전국 | 울릉도(특산식물) |
주1. 왜광대수염(원종)은 광대수염(변종)에 비해 털이 많고 잎이 작은 것 이외에는 별반 차이가 없다 한다.
이는 떡잎골무꽃(변종)과 골무꽃(원종) 차이와 유사하게 이해하면 어떨까 싶다.
주2. 호광대수염(Lamium cuspidatum Nakai)은 부전고원과 백두산에 분포하며 연한 홍자색꽃이 핀다.
하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호광대수염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기재문]
여러해살이풀.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있으며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길이 5-10cm, 나비 3-8cm로서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주름살이 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홍색 또는 백색으로서 잎겨드랑이에 5-6개씩 달리므로 돌려나기한 것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길이 13-18mm로서 5개로 중열되고 열편은 삼각상 선형으로 끝이 날카로우며 가장자리에 털이 난다.
꽃부리는 통상순형이고 상순은 모자창처럼 앞으로 굽으며 하순이 밑으로 넓게 퍼지고 옆에 선상의 부속체가 있다.
둘긴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분과는 3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3mm정도로서 거꿀달걀모양이다.
높이 30-6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네모나고 털이 약간 있다.
'20.2.15.
'초본식물 > 뿌리잎'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좀꿩의다리 신엽(3.28) (0) | 2022.05.12 |
---|---|
긴흑삼릉 신엽(5.5) (0) | 2022.05.11 |
큰망초 월동잎(2.14) (0) | 2022.05.10 |
자주방아풀 신엽(5.27) (0) | 2022.05.08 |
큰뱀무 월동잎(2.13) (0) | 2022.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