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본식물/겨울눈

고욤나무 겨울눈 및 수피 (감나무과, 감나무속)

by 곰보배추 2023. 12. 2.

가지의 끝에 가지자국이 있는 경우 끝눈은 생기지 않고 끝눈의 역할을 하는 가정아(가짜끝눈)가 생기며,

하나만 생기는 경우 줄기의 중심에서 편향해서 달린다.

* 가정아 : 정아가 기능을 못할 경우 대신 정아의 역할을 하는 겨울

이런 종류의 나무는(가지 끝 모두에 가정아가 생기는 것은 아님)

- 어긋나기 :  감나무, 가죽나무, 무환자나무, 헛개나무, 느티나무, 참느릅나무, 느릅나무, 시무나무, 두충, 뽕나무,

                    모과나무, 귀룽나무, 피나무, 팽나무, 왕버들, 서어나무, 자작나무, 노각나무, 개오동, 붉나무,

                    사람주나무, 소사나무, 대추나무, 때죽나무, 박쥐나무, 히어리, 노린재나무, 찔레나무

- 마주나기 : 황벽나무, 메타세콰이어, 단풍나무, 당단풍나무, 참빗살나무, 신나무, 라일락, 말발도리, 가막살나무,

                    백당나무, 팥꽃나무

정확하게는 측아이지만 말라버린 잔가지가 끝에 남아 있어 정아의 형태를 띤다.

줄기 끝에 가정아를 만드는 이유는 꽃이 피고 열매를 맺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반대로 가정아가 있다는 경우 줄기 끝에 꽃이 핀다고 추정할 수 있다.  

===================================================================

정아(가짜끝눈)는 달갈형 또는 긴달갈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2개의 인편으로 싸여있고 인편의 가장자리는 검다.

곁눈은 어긋나며 엽흔은 반원형 또는 콩팥형이고 관다발자국은 1개이고 약간 융기되어 있다.

소지에는 털이 있다가 사라짐.

껍질눈은 세로로 긴 모양.

[줄기 끝의 겨울눈이 가정아]

 

신나무 겨울눈

'23.3.16

hyunsik.tistory.com

------------------------------------------------------------------------------------------------------------------------------------------------

원추형의 겨울눈은 어긋나 달리며 흑갈색의 인편이 겨울눈을 거의 감싸고, 겨울눈의 상부는 붉은색을 띤다.

 

 

고욤나무 겨울눈

고욤나무 '정아'는 '가정아'이다. '21.1.25

hyunsik.tistory.com

[정생아가 가정아]

'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