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생 및 수변식물

거머리말(4.23)

by 곰보배추 2022. 4. 30.

[잘피란?]

잘피는 해수에 완전히 잠겨서 자라는꽃이 피는 속씨식물을 통칭하고 해조류(미역, 다시마 등)와는 다르게 잎,

줄기, 뿌리 기관을 가지고 있다.

여러해살이풀로 우리가 흔히 잘피라고 부르는 종은 대부분 거머리말을 지칭한다. 잘피는 우리나라의 바닷속에서

가장 넓게 분포하는 해초류로 주로 물살이 느린 수심 5m 이내의 얕은 바다나 강어귀에서 살고 있다.

세계적으로 60여 종이 분포하고 있는 잘피는 국내에는 9종이 분포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고 거머리말 이외 잘피류에

속하는 종으로 애기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말잘피(게바다말, 새우말), 동해안의 비교적 깊은 수심에 분포하는

왕거머리말, 크기가 10m 넘게 자라는 수거머리말, 줄말 등이 있다.

(출처 : 바다식목일(매년 5월 10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한 취지를 알리기 위한 해양수산부 보도 자료)

[해양보호식물 지정종]

새우말, 게바다말, 왕거머리말, 수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거머리말

[기재문]

학명은 Zostera marina L.이며 종소명 marina는 '바다속에 사는' 의미.

거머리말속에는 거머리말, 애기거머리말, 수거머리말, 왕거머리말, 좀마디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6종이 있다.

수심 1~10m의 연안 진흙에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해양성 수생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지름 3~5mm,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잎은 2줄로 어긋나며 선형으로 길이 50~120cm,

폭 4~9mm, 끝은 둔하고 아래는 잎집으로 싸인다. 잎맥은 7개이다. 꽃차례가 나오는 가지는 길이 10cm 정도,

지름 2mm, 마디가 있다. 꽃은 4~8월에 암수한포기로 핀다. 육수꽃차례는 한쪽으로 배열하고 불염포로 싸인다.

꽃차례 위에는 수꽃이 달리고 아래는 암꽃이 달린다.

열매는 수과, 기둥 모양이다. 씨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2~3.5mm이다.

이 종은 국내에 분포하는 거머리말속의 식물들과 비교하여 잎맥이

7개고 중앙맥과 첫 번째 맥 사이에 4~6개의 세로줄이 있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어류의 서식처와 산란 장소가 되며 바다 숲 조성에 이용한다. 잘피라고도 부른다.

 

거머리말 종자(6.21)

잘피란?]잘피는 해수에 완전히 잠겨서 자라는꽃이 피는 속씨식물을 통칭하고 해조류(미역, 다시마 등)와는 다르게 잎,줄기, 뿌리 기관을 가지고 있다.여러해살이풀로 우리가 흔히 잘피라고 부

hyunsik.tistory.com

'19.4.23.

'수생 및 수변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사초(5.5)  (0) 2022.05.15
물솜방망이 신엽(3.29, 4.17)  (0) 2022.05.09
애기하늘지기(9.10)  (0) 2022.04.20
솔잎가래(4.17)  (0) 2022.04.17
바늘꽃(9.6)  (0) 2022.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