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꽃속의 종 검색표] 출처 : 한국산 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2019년)
1. 상부 잎은 대생하며, 크기와 모양이 나머지 잎과 비슷하다.
2. 개화 후에도 직립한다.
3. 잎은 침형 또는 선상피침형이다. ----- 가는잎개별꽃
3. 잎은 피침형, 난상피침형, 난형이다.
4. 엽연과 잎이면 중륵에 털이 있다. ------ 긴개별꽃
4. 잎 기부에만 털이 있다. ----- 애기개별꽃
2. 개화 후에 덩굴성이 된다.
5. 원줄기의 잎과 엽액에서 분지된 줄기의 잎이 동형(난형)이며, 종자가 결실한다. ----- 덩굴개별꽃
5. 원줄기의 잎과 엽액에서 분지된 줄기의 잎이 이형이며, 종자가 결실되지 않는다.
6. 소화경이 2 cm 이상이다. ----- 보현개별꽃(덩굴개별꽃과 태백개별꽃의 잡종)
6. 소화경이 2 cm 미만이다. ----- 설악개별꽃(덩굴개별꽃과 큰개별꽃의 잡종)
1. 상부 잎은 위윤생하며, 나머지 잎에 비해 가장 크다.
7. 지하경이 있다. ----- 숲개별꽃
7. 지하경이 없다.
8. 소화경 전체에 털이 있다. 꽃은 (1)2–5(8)개 핀다. ------ 개별꽃, 털개별꽃
8.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1–2줄 있다. 꽃은 한개만 핀다.
9. 결실기 소화경은 3.5 cm 이상이고, 결실기에 줄기 기부로 길어져 굽는다.
----- 지리산개별꽃, 태백개별꽃, 대관령개별꽃, 팔공산개별꽃
9. 결실기 소화경은 3.5 cm 미만이고, 결실기에 줄기 기부로 길어지지 않는다.
10. 종자가 결실되지 않는다. 지상부 줄기는 하나이고,
소화경에 털이 1줄이다. ----- 비슬개별꽃(개별꽃과 태백개별꽃의 잡종)
10. 종자가 결실된다. 지상부 줄기는 1–17개이고, 소화경에 털이 없거나 1–2줄이다.
11. 삭과의 종자수는 5개 이상이다. 결실기 소화경 길이는 1.3–2.8 cm이다.
----- 큰개별꽃, 영선큰개별꽃, 탐라큰개별꽃, 가거큰개별꽃
11. 삭과의 종자수는 1–4개이다.
결실기 소화경 길이는 2.3–3.4 cm. ------ 정영개별꽃(지리산개별꽃과 큰개별꽃의 잡종)
[지리산개별꽃 계열 종 검색표]
1. 소화경에 털이 1~2줄 있고, 꽃잎은 5장이며 괴경은 방추형이다. ----- 지리산개별꽃
1. 소화경에 털이 없고, 꽃잎은 5~9장이며 괴경은 가는 방추형이다.
2. 암술대는 직립하거나 완만하게 휘어진다.
3. 잎 기부에만 털이 있다. ----- 태백개별꽃
3. 상부 잎 표면 엽연, 잎 이면 중륵에 털이 있다. ----- 대관령개별꽃
2. 암술대는 나선상으로 꼬여있다. ----- 팔공산개별꽃
[큰개별꽃 계열 종 검색표]
1. 소화경에 털이 없다. 꽃받침 길이는 7.0mm 미만이다.
2. 개방화는 암술과 수술이 있고, 꽃잎이 5~9장이다.
3. 잎 기부에만 털이 있다. ----- 큰개별꽃
3. 상부 잎 표면 엽연, 잎 이면 중륵에 털이 있다. ----- 영선큰개별꽃
2. 개방화는 암술과 수술이 퇴화되어 겹꽃으로 핀다. ----- 탐라큰개별꽃
1. 소화경에 털이 1~2줄 있다. 꽃받침 길이는 7.0mm 이상이다. ----- 가거개별꽃
'23.4.2.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무늬) 개족도리풀(3.30) (0) | 2023.04.05 |
---|---|
애기참반디 꽃 (산형과, 참반디속 / 3월) (0) | 2023.04.05 |
연복초, 뿌리(4.4, 연복초과) (0) | 2023.04.05 |
노루귀 잎(4.3) (0) | 2023.04.04 |
솔잎사초 꽃 (3.24) (0) | 202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