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가래, 큰가래, 선가래
종명 (학명) |
큰가래 (P. natans L.) |
가래 (P. distinctus A.Benn.) |
선가래 (P. fryeri A.Benn.) |
|
일본명 | オヒルムシロ | ヒルムシロ | フトヒルムシロ | |
분포 | 평양 근처 | 전국 | 중부 이남 | |
식아(동아, 번식체) | 수중 줄기 끝에서 형성 | 지하 줄기 끝에서 형성 | 없음 | |
심피(암술머리갯수) | 4개 | 1~3개 | 4개 | |
침수엽 | 선형이고 엽병이 없다. 횡단면은 초승달 모양. |
피침형이고 엽병이 있다. | 피침형이고 엽병이 없다. | |
부수엽 | 기부 | 심장저 또는 원저 | 심장저 또는 예저 | 좁아진 후 엽병을 따라 약간 흘러내린다(날개) |
엽병 | - | 원주형 | 흔히 반원형 |
* 유속이 있는 수로에서는 침수엽과 꽃을 볼 수가 없다(선가래).
* 얕은 물에서는 침수엽은 원래의 침수엽이 아닌 부엽처럼 줄기가 달린 잎만 볼 수 있다.
* 애기가래와 가는가래는 수중옆의 엽액에서 식아(동아, 번식체)가 형성된다.
[가래속의 종 검색표] 출처 : 미기록식물 얼치기대가래 논문(2020년)
1. 침수엽의 엽설은 잎 기부와 합착된다.
2. 잎은 좁은 선형이고, 너비 2㎜ 이하, 점첨두 또는 예두이며, 평저이다. ----- P. pectinatus (솔잎가래)
2. 잎은 선형이고, 너비 2-3㎜, 예두이며, 원저이다. ----- P. maackianus (새우가래)
1. 침수엽의 엽설은 잎 기부와 거의 이생한다.
3. 부수엽이 발달하지 않는다(좁은잎말 제외).
4. 잎은 좁은 선형이고, 너비 1-6㎜이다.
5. 잎은 너비 3-6㎜, 둔두 또는 예두이며, 넓은 설저이고, 엽연은 예거치가 있는 파상이다. ----- P. crispus (말즘)
5. 잎은 너비 1-3㎜, 예두이며, 유저이고, 전연이다.
6. 지하경이 발달하고, 잎은 너비 2-3㎜, 점첨두이고, 열매는 길이 3-3.5㎜이다. ----- P. oxyphyllus (버들말즘)
6. 지하경이 발달하지 않고, 잎은 너비 1-1.5㎜, 예두이고, 열매는 길이 1.5-2㎜이다. ----- P. pusillus (실말)
4. 잎은 넓은 선형이고, 너비 0.7-3㎝이다.
7. 잎은 예철두 또는 급첨두이며, 엽병이 있다. ----- P. wrightii (대가래)
7. 잎은 둔두 또는 예두이며, 엽병이 없다.
8. 잎의 기부는 심장저이며, 기부가 줄기를 싸고 있다. ----- P. perfloiatus (넓은잎말)
8. 잎의 기부는 설저이며, 줄기를 싸지 않는다(간혹 부수엽이 있다).
9. 간혹 부수엽이 있고, 열매를 맺는다. ----- P. alpinus (좁은잎말)
9. 부수엽이 없으며, 열매를 맺지 않는다. ----- P. × anguillanus (얼치기대가래)
3. 부수엽이 발달한다.
10. 침수엽은 선형이며, 부수엽은 길이 1.5-3.5㎝, 너비 0.5-1.2㎝이다.
11. 지하경이 발달하며, 열매는 닭볏 모양의 돌기가 뚜렷하고,
갈고리 같은 부속체가 있다. ----- P. cristatus (가는가래)
11. 지하경이 발달하지 않고, 열매의 돌기는 불분명하다. ----- P. octandrus (애기가래)
10. 침수엽은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부수엽은 길이 5-12㎝, 너비 2.5.-5㎝이다.
12. 침수엽은 선형이고, 부수엽의 기부는 심장저 또는 원저이다. ----- P. natans (큰가래)
12. 침수엽은 피침형이고, 부수엽의 기부는 심장저 또는 예저이다.
13. 침수엽과 부수엽의 엽병은 흔히 납작하고 날개가 발달하며,
자방실은 4개이다. ----- P. fryeri (선가래)
13. 침수엽과 부수엽의 엽병은 원주형이며, 자방실은 1-3개이다. ----- P. distinctus (가래)
'17.7.22 / 대구
'그룹명 > 최근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동쥐똥나무(6.10) (0) | 2017.08.05 |
---|---|
쥐똥나무 (6.16) (0) | 2017.08.05 |
흰털고사리 (7월) (0) | 2017.08.03 |
삼도하수오(7.8) (0) | 2017.08.02 |
미국능소화 (0) | 2017.08.01 |